본문 바로가기

관련 정보,자료/칼럼,참조,자료 등 기타

[예술인칼럼 '판'] 국악? 우리 음악 걱정하기 : 강지은 해금 연주가


가끔, 실은 종종 상상한다. 이 땅의 음악이 방해 없이 전해져 와, 계승이니 창조니 하는 얘기할 것 없이, 마치 우리말처럼, 지금 여기에서 현대를 이야기하고 있다면, 그것은 어떤 소리일까?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그 음악과 만나고 알게 될까? 국악이, 국악이 아닌, 그러니까, '그냥' 음악인 삶은 어떤 삶일까? 그리고는 이내 상상에서 그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안타까워진다.

국악은 -궁중에서, 양반집 대청마루에서, 들판에서, 바다 위에서…, 한이 서린, 공경을 담아, 산천을, 복을 구하며, 사랑하는 임 그리며… -오랜 시간에 걸쳐 우리가 불러 온 노래이다. 꺾고 흔들어 음정을 만들며 독특한 박자체계를 가진, 이 땅의 방법으로 연주하는 음악이다. 바로 여기에 '우리'답게 해 주며, '우리'라고 묶을 수 있는 정서와 혼이 담겨 왔다.

그런 음악을 지금은 생판 남처럼 여긴다. 한복을 입고 메나리 한 곡조를 흥얼거리며 걷는 일. 쉽게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국가와 국민이 국악을 어색해한다. 전통이 된 많고 많은 우리 문화를 잘 모르듯 우리 음악인 국악 또한 너무 모른다. 어딘가에서 문화적 연결고리가 부자연스러워진 것이다. 전통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한 시간도 역사의 한 부분임을 인정하나, 왜곡되고 단절된 것에 대한 의식조차 없이 진행되는 역사는 분명 문제가 있다. 이러다 언젠간 뭐가 뭔지 정체성이 사라져 버리진 않을까.

역사, 그 이후의 정책, 교육 등을 탓하는 일은 더는 무의미하다. 소박하게라도 개개인의 자발적 노력에 의한 의식 변화를 기대한다. 별 것 없다. 우선은 보고 들어 보자.

주변에 없다고? 관심만 둔다면 의외로 가까이에서 여러 경로를 찾을 수 있다. 볼수록, 들으면 들을수록, 점점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음악이 무슨 말을 하는지를, 이 음악이 왜 소중한지를, 그 예술적 깊이와 가치를.

우리 것이 제일이다, 라는 국수주의나, 우리 것이니 좋아해라, 하며 취향을 침해하고자 함이 아니다. 다만 다시금 국악을 '우리 음악'으로 여기며 전통으로 흘려보내는 몫을 우리 세대 역시 잘 감당했으면 한다. 국악이 그저 옛것이 아닌 현재진행형이자 미래지향적이 되게끔 말이다.

간절히 바란다. 국악이라 불리는 이 음악이, 우리의 전통이, 그리고 우리가 만들어 가는 전통이, 다음 세대에도 살아 있기를. 건강하게.

부산일보 해당 칼럼 더 보기 http://goo.gl/7nrA0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