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 정보,자료/칼럼,참조,자료 등 기타

오늘,국악이 내게로 왔다! 국악방송이 만든 디지털 우리 악기 교과서 "우리악기 톺아보기"

◆ 일반 도서 300쪽 분량...스마트폰용 앱(Apps)으로 제작
◆ 통악기 중 대표적 악기, 가야금, 피리, 북...향후 9개 악기로 확대 예정
◆ 악계 명인, 악기명장 등 참여...외국인, 재외한인을 위한 영어버전도 제작

 

 

 

 

‘꼭 알고 싶지만, 배우기 어려웠고, 꼭 배우고 싶지만, 쉽게 배울 수 없었던 우리의 국악기. 스마트폰 시대에 국악기 하나쯤은 제대로 알아두자‘는 생각에서 개발된 국악방송(사장 채치성)의 디지털 악기교과서 ‘우리악기 톺아보기‘가 나왔다.


국내 일반 대중을 포함, 해외 음악가와 일반인들도 누구나 쉽게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제작으로 컨셉을 확정하고, 이름을 ‘우리악기 톺아보기’(샅샅이 훑어 가며 살핀다’는 순수한 우리말)로 명명했다.

국악기의 모든 것을 텍스트, 음원, 동영상 등을 이용해서 악기정보, 악기명장들의 제작과정, 명인들의 연주기법, 연주음악감상, 관련 정보에서 부터 이용자가 직접 연주까지 해볼 수 있는 체험의 기회까지 전해줌으로써 그 이름값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외국인을 위한 영문앱을 별도 출시, 세계화를 위한 준비도 잊지 않았다. (영문앱은 ‘DO IT, GUGAK!(국악, 해보자!)으로 국악체험을 유도하는 타이틀로 삼았다)

이번 국악방송의 프로젝트에는 모두 6명의 국내 정상급 국악연주가가 참여했다. 가야금편에 최충웅(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보유자 후보), 지성자(전북 무형문화재 제40호 가야금산조 보유자), 피리편에 정재국(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예능보유자), 최경만(서울시 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예능보유자), 북편에는 박근영(대전 무형문화재 제17호 판소리고법 보유자), 임웅수(경기 무형문화재 제20호 광명농악 예능보유자)명인이 그들이다.

각 편에는 악기명장들의 악기제작과정도 영상다큐멘터리 기법으로 제작, 삽입되어 있는데, 최태귀(가야금), 이광재(피리), 이석제(북) 악기명장이 참여, 경기도 여주, 이천, 충북 영동에 소재한 공방에서 악기제작의 일련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주면서, 시연을 통해 악기에 얽힌 궁금증을 풀어준다. 또한, 전문작가가 참여, 악기를 해부하듯, 악기의 전체 구조를 낱낱이 촬영한 사진은 가야금, 북을 360도 회전시킨 3D촬영으로 평면적 한계를 극복한 입체 이미지로 볼 수 있게 제작되었다. 실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화면의 이미지를 돌려보며 실제 악기를 보는 듯한 생동감을 느낄 수 있게 삽입되어 있는 것이 또하나의 특징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예술위원회의 ‘전통예술산업콘텐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해온 국악방송은 총9종의 악기를 지정하고, 3종의 앱을 먼저 공개했다. 3종의 국악기로는 한국의 전통악기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악기들로, 현악기인 가야금, 관악기인 피리, 타악기인 북을 선정, 제작했다.

악기의 역사, 특성, 악기제작과정, 명인해설 및 연주, 연주곡 감상, 참고자료까지 꼼꼼히 담아낸 ‘우리악기 톺아보기’는 일반도서 300쪽 이상의 E-Book 기능을 가지되, PC와 스마트폰 앱(Apps)으로 구동되므로, 새로운 차원의 교과서로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영문버전은 외국인과 재외한인, 한인2,3세들을 대상으로 국악홍보에도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악방송은 홍보를 위해, 국악교육의 현장을 직접 방문, ‘우리악기 톺아보기’ 앱(Apps)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