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장소 : 부산 연지동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 지도보기
3. 날짜 : 2015년 9월 13일 (일요일)
4. 시간 : 오후 4시
6. 문의 : 010-8288-0500
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me2.do/xdZpx3KW
◆ 출연진 : 정순임, 박재현, 전태원, 오교선, 지영재, 정선겸 등
1. 희노애락 "희"
심청가 중 "심봉사 눈뜨는 대목"은 심청이가 부친을 그리워 하다 부친을 만나기 위해 맹인잔치를 배설하여 부친과 상봉하여, 마침내 심황후의 정성스러운 효성으로 눈을 뜨게 되는 대목이다. 이 대목보다 더한 기쁨을 표현한 판소리 대목이 또 있을까 싶다.
2. 희노애락 "노"
춘향가 중 "이별가"는 춘향이와 몽룡이가 백년가약 맺은지 얼마 되지않아, 이몽룡이 한양으로 떠나야 한다해 어쩔수 없이 비극적인 이별을 맞는 사랑을 표현해내고 있다. 가사 중 “아이고 여보 도련님, 참으로 가실라요? 나를 어쩌고 가실라요? 인제 가면 언제 와요? 올 날이나 일러주오. 동박작야춘풍시으 꽃피거든 오실라요? 높은 산 상상봉이 평지가 되거든 오실라요? 사해 너른 바대 육지가 되거든 오실라요? 마두각하거든 오시랴오, 오두백허거든 오실라요? 운종룡 풍종호라, 용 가는 데 구름이 가고, 범 가는 데는 바람이 가니, 금일송군 임 가신 곳 백년소첩 나도 가지.” 에서는 춘향이의 원망섞인 노여움이 묻어있는 대목이다.
3. 희노애락 "애"
심청가 중 심청이가 선인들을 따라가는 대목은 눈어둔 부친을 두고 떠나기가 가슴이 아파 진지도 차려드리고 마지막 인사를 하며 심청이의 지극한 효성을 느낄수 있는 대목으로 슬픔이 아주 잘 묻어나는 대목 중 하나이다.
4. 희노애락 "락"
흥보가 중 박타는 대목은 배고픈 자식들을 달래기 위해 제비가 물어다 준 박씨를 심어 열린 3통의 박을 타서 박속이라도 긁어 먹이기 위해 탄 박에서 돈과 쌀, 보물들이 가득 나와 흥보가 부자가 된 대목으로 즐거움을 표현하기에 좋은 대목이다.
5. 진도씻김굿
진도 씻김굿은 경상도 지방의 오구굿이나 서울의 지노귀굿과 마찬가지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여 저승으로 보내는 굿이다. 씻김굿이라는 이름도 죽은 사람이 생전에 풀지 못했던 소망이나 원망 등 한이 될 것들을 씻어낸다는 데서 나왔다. 진도 씻김굿은 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되어 있다.
6. 남도민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정순임 명창과 함께 꾸미는 무대로 마지막을 장식한다.
지금 보신 국악정보가 도움이 되셨으면 아래 공감 ♥ 버튼을 눌러 주세요^^
'관련 정보,자료 > 공연/행사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19일 부산문화회관 토요상설무대 '부산시립무용단' 공연 (0) | 2015.09.07 |
---|---|
국립전통예술중학교 '현의 울림' 9월 13일 서울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공연 (0) | 2015.09.07 |
대구 꿈꾸는씨어터 국악상설 '풍류열전' 5번째이야기 (9월 15일~11월 3일 매주 화) (0) | 2015.09.07 |
전통예술단 호연 국악프로젝트 ‘호연에 반하다’ 9월 13일 인천광역시립박물관 (0) | 2015.09.07 |
9월15일 국립부산국악원 제174회 화요공감무대 - 이은혜의 육잡가발표회 '앉은소리' (0) | 2015.09.06 |
김천시립국악단 '미래,꿈을 펼치다 lll' 9월 18일 경북 김천시문화예술회관 (0) | 2015.09.04 |
'민영치 국악 연주가와 함께 하는 예술소풍' 9월 19일 국립국악원 (접수 8월 27일~9월 16일) (0) | 2015.09.04 |
덕수궁의 밤을 물들이는 우리음악의 향연 <덕수궁 풍류> 9월 '추월만정' (0) | 2015.09.04 |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특별연주회 '3인 3색 음악회' 9월 18일 부산문화회관 (1) | 2015.09.04 |
이윤아의 첫 번째 피리독주회 '花鳥風月(화조풍월)' 9월 8일 서울 민속극장 풍류 (2) | 2015.09.03 |